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
Posted by 역시인생한방
,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Nagle 알고리즘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. 

 

ACK를 받지 못한 데이터가 있는 상황에서는, 조그만 세그먼트들은 ACK를 받을 때까지 보낼 수 없다.  
대신 이 조그만 세그먼트들은 하나로 합쳐져서 ACK가 도착했을 때 하나로 날아가게 된다. 

  

 ACK가 빨리 올수록 데이터도 빨리 날아간다. 하지만 ACK가 바로바로 날아오지 않는 상황(즉 느린 WAN)에서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보다, 더 적은 수의 세그먼트들이 날아가게 된다. 즉 병목 현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. 하지만 결국 데이터를 모아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원래보다 반응이 느려진다. 빠른 반응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,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.

 TCP_NODELAY 소켓 옵션을 이용해 알고리즘을 끌 수 있다.


출처 : http://www.serious-code.net/moin.cgi/TcpGlossary

Posted by 역시인생한방
,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FROM_UNIXTIME( int );

int -> datetime

 

UNIX_TIMESTAMP( datetime );

datetime -> int

 

아우~ 헷갈려~ ㅋ

 

 

 

FROM_UNIXTIME( timestamp )

  주어진 타임스탬프 값으로부터 'yyyy-mm-dd hh:mm:ss' 또는 yyyymmddhhmmss 형식의 날짜를 리턴

  ex) FROM_UINXTIME(875996580)

        - '1997-10-04 22:23:00'

        - 19971004222300

 

FROM_UNIXTIME( timestamp, format )

  주어진 타임스탬프 값을 주어진 날짜 형식에 맞게 바꿔서 보여줌

  ex) FROM_UINXTIME(timestamp, '%y %d %m %h :%i:%s $x') $x는 형식문자가 아니므로 그냥 x가 표시됨

        - '1997 23rd december 03:43:30 x'


Posted by 역시인생한방
,